미국 증시 거래시간 완벽 가이드 – 서머타임, 프리·애프터마켓 활용법까지
미국 증시는 한국과 시차가 크고, 봄·가을마다 서머타임(DST)으로 시차가 바뀝니다. 정규장뿐 아니라 프리마켓(Pre-Market), 애프터마켓(After-Hours)까지 활용하면 공시와 실적 시즌의 가격 변동을 선제적으로 포착할 수 있습니다. 이 글은 2025년 기준 KST(UTC+9)로 환산한 시간표, 서머타임 달력, 브로커별 체결 특성, 변동성 구간과 실전 운용 팁을 체계적으로 제공합니다. 투자자는 거래 가능 시간대를 정확히 이해함으로써 슬리피지와 유동성 리스크를 줄이고, 체계적인 주문 전략을 수립할 수 있습니다. 목차 미국 증시 시간 구조 한눈에 보기 🕒 한국시간(KST) 기준 환산표와 서머타임 차이 ⏱️ 프리마켓 전략: 공시·실적 선반영 구간 활용법 🚀 애프터마켓 전략: 클로징 이후 공시·컨퍼런스콜 대응 🌙 브로커·거래소별 규정과 주문 타입 이해 🧩 변동성 캘린더: 경제지표·실적시즌 시간대 맵핑 📈 리스크 관리 체크리스트 & 슬리피지 줄이는 법 🛡️ FAQ 결론 미국 증시 시간 구조 한눈에 보기 🕒 미국 주식의 정규장은 동부시간(ET) 기준 오전 9:30~오후 4:00입니다. 프리마켓은 일반적으로 오전 4:00~9:30, 애프터마켓은 오후 4:00~8:00로 운영됩니다. 다만 실제 체결 가능 시간과 호가 참여 범위는 거래소·브로커·티커 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으며, 일부 종목은 연장시간 유동성이 극히 제한됩니다. 연장시간 거래는 전자적 통신망(ECN)을 통해 이뤄지며, 참여자 수가 적어 스프레드(매수·매도 호가 차)가 벌어지기 쉽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실적 발표(Earnings)나 기업공시(8-K, PR), 대형 경제지표 발표 직후에는 빠른 가격발견이 이뤄져 기회와 위험이 동시에 커집니다. 시장 미시구조 관점에서 개장 직후(오전 9:30~10:00 ET)와 마감 전(오후 3:50~4:00 ET) 경매(Auction) 구간은 체결량이 집중되는 만큼, 급격...